본문 바로가기
주식

티에스아이 주가 : 믹싱 전문가

2022. 1. 2.

티에스아이는 2차 전지 산업에 필요한 장비를 만드는 회사이다. 2차 전지 제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3단계로 나눈다.

  • 전극 공정
  • 조립 공정
  • 활성화 공정

2차전지 제조 공정 _ 티에스아이


티에스아이는 2차 전지 공정의 1단계인 전극 공정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만든다. 전극 공정 장비를 만드는 회사 중 우리나라 2 Top은 피엔티와 씨아이에스이다.

피엔티와 씨아이에스의 주가를 보면 두 가지 비슷한 점이 있다. 첫 번 째는 최근 3년 동안 주가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주가 차트 모양도 거의 비슷하다. 두 번째는 시가총액이 비슷하다. 피엔티는 9961억 원, 씨아이에스는 8847억 원이다. 2차 전지 장비 관련주 중에서 두 기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뜨겁다.

피엔티 주가 차트
씨아이에스 주가 차트

반면에 티에스아이의 주가는 두 기업 대비 낮다. 티에스아이의 시총은 1928억 원이다.

티에스아이 주가


이유는 피엔티와 씨아이에스가 전극 공정에 쓰이는 더 다양한 장비를 만들기 때문이다. 티에스아이는 믹싱 공정의 믹서를 주로 만들고 씨아이에스와 피엔티는 코터, 프레서, 슬리터 등의 장비들을 만든다.

티에스아이 매출 내용 _ 2021년 3분기

2차전지 제조 공정2

전극 공정도 _ 티에스아이

믹싱공정 _ 티에스아이



티에스아이의 주요 매출처는 국내 배터리 3사이다. LG화학과 삼성sdi에 대한 매출 비중이 가장 높다. 상대적으로 sk에 비해서 배터리 사업을 빨리 시작한 lg와 삼성에 대한 매출 비중이 높은 것 같다. 그건 향후 sk가 장비를 본격적으로 수주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다.
수주잔고 현황을 보면 사업이 가장 활발한 lg에너지솔루션 비중이 높다. 베트남 기업 빈패스트의 수주도 있다.

수주잔고현황 _ 2021년 2분기


티에스아이 입장에서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전기차 시장이 커지는 것이고, 배터리 회사의 경쟁이 심화되는 것이다. 2030년까지 lg화학은 665, 삼성sdi는 222, sk이노베이션은 288 기가와트시의 배터리를 만드는 게 목표이다.

티에스아이는 B2B 비즈니스 모델이기 때문에, 배터리 회사들의 경쟁이 심화되면 회사의 매출이 증가한다. 현재 글로벌 배터리 상위 업체는 국내 3사(삼성, lg, sk) 중국 3사(catl, byd, svolt) 일본 1사 (파나소닉) 유럽 2사(노스 볼트, psa)이다. 이 업체들 간의 경쟁이 심해져서 공장 증설을 하면 티에스아이에게는 좋다. 또는 더 많은 배터리 회사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 게 티에스아이에게는 좋다.


배터리 업체 전망

2차전지 업체별 증설량 _ 티에스아이 3분기 보고서

2020년에는 매출이 오히려 하락했다. 부채비율이 높다. 2021년 3분기 기준 223%이다. 현재 실적은 별로 좋지 않다.

티에스아이 실적



티에스아이는 2차전지 장비 관련 종목이다. 제조 공정 중 전극 공정의 믹싱 시스템 장비를 만든다. 국내 배터리 3사에 장비를 모두 납품하고 있다. 2차 전지 배터리 내재화 붐이 일면서 테슬라와 리비안이 배터리 제조 설비 구축하기 위해 티에스아이 장비를 활용할 것이라는 기대가 생기면서 시장에서 테슬라, 리비안 관련주도 언급되기도 한다. 실적은 적자 상태이고, 부채비율이 200%가 넘는다. 2022년에는 흑자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적이 얼마나 증가할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댓글